사단법인 유럽헌법학회

논문검색


pISSN: 1976-4383

유럽헌법연구, Vol.40 (2022)
pp.109~145

DOI : 10.21592/eucj.2022.40.109

대통령선거제도의 연혁적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도협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법학과 교수, 법학박사)

정부형태와 정치문화 등에 기인한 구체적인 선거제도의 차이에도 불 구하고 대통령을 포함한 국회의원, 지방의원 및 자치단체의 장 등 국가 의 통치구조 내지 권력구조의 구축에는 무엇보다도 민주적정당성이 확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공직선거는 오늘날 국민주권의 실현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국민의 대표자에게 위임되는 통치권력에 대한 정당성 (正當性)을 부여하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바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 긍정적인 측면에서든 부정적인 측면에서든 지난 우리 헌 정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대통령선거제도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목적과 이유에서 변천해 왔으며, 그 속에서 어떠한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보다 최적의 선거제도 구축과 관련하여 매우 의미 있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제하에서 본 연구는 대통령선거 제도의 변천과 그 특성으로 대별하여 살펴보았는 바, 다음과 같은 사실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통령선거제도의 변천과 관련하여서는, 초기의 국회간선제로 출 발한 대통령선거제도는 그동안 여러 차례 직선제와 간선제로의 변천을 겪었으며, 이 같은 변화는 의원내각제의 도입 등 일부 정부형태의 변화 에 기인한 측면도 있으나, 결과적으로는 집권세력의 정권 재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할 것으로서 민주적정당성에 대한 심각한 훼손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불안정한 통치시스템의 방증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그 간의 대통령선거제도의 변천과 관련한 특성으로서, 건국 이래 인물중심의 보스정치 내지는 가신정치의 경향은 이후 대통령선거와 지역할거(패권)주의의 결합으로 우리사회의 건전한 정체성의 훼손과 이 질화를 강화시켰으며, 또한 지난 20차례에 걸친 역대 대통령선거에서의 투표율의 부침(浮沈)은 당대의 정치·경제적 상황이 중요한 요인이 되기는 하였으나 반드시 상대적 내지 비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선거연령과 관련하여서는 제1공화국 정부수립 이후 대통 령 선거연령은 국회의원선거와 함께 만 21세 이상의 국민에게 부여한 이래 1960년과 2005년 그리고 2020년의 세 번에 걸친 하향조정을 통 해 현재 ‘18세 이상’으로 변경되었는 바, 이 같은 선거연령의 급속한 하 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견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국민의 정치의식을 합리적으로 반영한 것으로서 과거에 비해 국민의 참정권 확장에도 진일 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선거일과 관련하여서는 1994년 3월 새로운 통합선거법인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서 최초로 법정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기존의 ‘목요일’에서 ‘수요일’로 변경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볼 경우에는 우리의 경우 기왕의 공휴일인 일요일을 선거일로 법정화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보인 다. 아울러 1987년에 도입된 기탁금제도는 나름으로는 개선되고 합리화 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여전히 공무담임권의 침해여부 등 논란의 여지 를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search on histor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Kim, Do-Hyub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presidential system or a parliamentary system,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electoral system.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elections i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Therefore, democracy can be said to depend on the electoral system, and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based on the correct electoral system is very important. Among these public office elections,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particular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elec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times, is very meaningful. As a result, the early presidential system was changed to a parliamentary system of government, and then the parliamentary system of government was changed to a presidential system. In addition, the presidential system also repeated the indirect and direct election systems. For this reason, the will of the person in power played an important role, which can be seen as a violation of democracy.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several times, the age of those who can vote has been reduced from 21 to 18, political conflict between regions has increased, and the election day has been set on Wednesday. And the election deposit was reduced from 500 million won to 300 million won. I hope that moreresearch on the electoral system will lead to more democratic elections.

Download PDF list